강의노트 1강, 개발환경의 개념 및 주석 입력
파이썬 강의노트 목차
1. 주석
# ctrl + / : 선택한 만큼 주석 처리
# window + e : 탐색기
# window + r : 실행창
# -> cmd -> appwiz.cpl
# ※ cmd 명령
# dir : 현재 위치 파일 및 폴더 출력
# cls : 화면지우기
# vscode에서 python 코드 실행
# 1. ctrl + F5
# 2. py 파일명.py
# ※ tab키는 자동완성이다
# 2-1. ctrl + j : vscode 내부 터미널창
# 2-2. ctrl + shift + c : 윈도우 터미널
2. Test.py
print("Hello World")
print("안녕 세상아!")
# 그냥 쓰면 에러남!!
# 샵 붙이면 주석 달기, 주석은 코드로 해석되지 않음!
(내가 이해한 것 : 처음에 VS를 써서 그렇지 파이썬도 언어이기 때문에 cmd로 실행하면 코딩 입력 화면과 결과 출력이 동시에 나오는 것이 당연함!)
IDLE에서는 cmd로 실행한 것과 다르게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통합 개발 환경) 코딩 화면에 색이 표시된다
3번으로 하면 대화형이기 때문에 연속으로 두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없음, 그래서 에디터를 열어서 (new file) 두줄 이상의 코드를 순차적으로 실행함 > 내가 구성한 로직대로, 순차적으로 실행함
파일 확장명은 보이도록 체크 해 놓는것이 좋음!!!
편집기 공통사항 : 파일 이름위에 별표가 붙어있으면 저장이 안되어있다는 의미! 저장해주자 !
VS Code는 개발환경은 아님, 코드 편집기임 (실행 능력은 없고 코드 편집과 확장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줌)
프로그래밍 :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
프로그램 : 명령어의 집합! 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리는 일을 모아둔 것 » 컴퓨터에게 일을 시키기 위해 만든 것 (컴퓨터는 프로그램 없으면 단순 연산만 하는 멍청이임…)
코딩 : 프로그래밍과 유사하지만, 컴퓨터 코드를 작성하는 것을 코딩이라고 함
이렇게 나누어 져 있는 이유는 프로그래밍이 더 넓은 범위이기 때문!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에는 코딩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수립, 코딩, 디자인, 업데이트/유지보수 등 복합적인 과정이 들어감!)
운영체제는 어플과 하드웨어를 연결시켜주는 중간다리 역할을 함! OS 는 운영 소프트웨어, 앱은 응용 소프트웨어라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