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CTURE NOTE

강의노트 2강, 표준 출력문과 이스케이프, 자료형

파이썬 강의노트 목차

오늘의 강의 키워드 : 표준 출력문, 따옴표의 구분, 이스케이프(\n), 주석, 자료형(type())

1. 출력문 (1)

print("1. Hello World")
print("2. 안녕 세상아!!")
print("3. 여기는 파이썬 수업중..")

표준 출력 : 사용자 (=개발자)가 입력한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는 함수 (=기능) print(“문자열”) : 입력한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하는 함수

Ctrl + shift + C는 코드 입력 창에서 누르면 터미널이 실행됨

파일 탭에서 자동저장 누르면 자동저장 되니까 항상 체크 해 둘것! ★ 코드는 항상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주석은 실행되지 않음)

1. 출력문 (2)

print("여기는 큰따옴표")
print('여기는 작은따옴표')
print()  # print()은 마지막에 줄바꿈이 내포되어 있으므로 줄바꿈으로 활용 가능

print("저희 파이썬은 '3.9버전' 입니다")
# print("저희 파이썬은 "3.9버전" 입니다")
# 빨간 표시가 되면서 터미널 실행 결과를 보면 꺾쇠로 표시가 됨
# (정확하진 않으나 이쯤에서 오류가 있다는 걸 표시)
# 따옴표는 먼저 발견되는 것까지 묶임, 따옴표를 구분해서 사용해주면 해결할 수 있음
print('저희 파이썬은 "3.9버전" 입니다')
print()

print("""파이썬은 "3.9"버전, 개발도구는 'VS code' 입니다""")
print('''파이썬은 "3.9"버전, 개발도구는 'VS code' 입니다''')

print()문은 “문자열”을 출력한다 > 문자열 : 단어나 문장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문자열은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로 묶어서 표현됨

문자열 안에 두 종류의 따옴표를 쓰고 싶을때는 3개짜리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음 ‘ ‘나 “ “ 을 문자열 내에서 같이 사용하려면 세개짜리 따옴표를 사용하면 됨!

1. 출력문 (3)



print("""
여기는 여러줄을 걸쳐서
문자열로 인식합니다
사용자가 작성한 그대로 출력이 됩니다.
""")

# print("그냥 따옴표는
# 여러줄이 안됩니다!!") >> 주석 해제하면 오류 뜸

사실 3개짜리 따옴표는 여러줄 문자열을 작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임 (파이썬의 특권!) 블록단위 문자열이라고도 함

2. 출력 연습

# 아래 주석으로 작성 해 놓은 내용을 출력으로 띄워놓기

print('''
이름 : 구름 (30세, 167.8cm)
주소 : 프로그래밍시 코딩동 파이썬 아파트
취미 : Python 코딩 연습
''')

3. 이스케이프

print("Hello\nWorld")                    # \n : new line, 줄바꿈으로 사용 됨
print("\n저희 수업은 \n\nPython 입니다")   # 문자열 내에서 이스케이프는 여러개 사용 가능
print("여기는 엄청 \t\t 띄워집니다!\n")      # \t : tab, 들여쓰기

# (참고)고정폭 폰트 : 일정한 간격으로 띄어쓰기를 똑 떨어지게 해줌

print("저희 파이썬 버전은 \"3.9\" 입니다")     # \" : 문자열 묶는 기능을 제거
print("공유폴더 : \\\\192.168.0.79")

escape : 탈출하다 벗어나다 escape sequence : 이스케이프 문자. ‘문자열 내’에서 특수한 형태로 사용되는 문자들이며, 항상 \ (백슬래시)와 결합하여 사용됨

\ 는 뒤에 나오는 걸 이스케이프 처리 해 줘서 \ 입력하면 하나만 나옴 \ : 이스케이프 기능을 제거 즉, 이스케이프 없는 애들에게는 기능을 주고, 기능이 있는 애들에게는 빼앗아 온다!

4. 주석

# 주석 : 코드로 해석되지 않는 부분
# 기호 뒤 브타 힌즐 끝까지 적용, 중간에 끊을 수 없음

print("여기는 출력") #print("여기는 출력 안됨")

# 여러 줄을 주석 처리하는 방법 없나? >> 없다
# 드래그 후 여러줄 주석 처리 shift + / (VS code 전용 단축키)
# 단, 유사하게 사용가능한 방법이 있다 > 문자열로 처리하는 방법

"""
여기는 출력이 됩니다
여러 줄을 문자열로 처리하는 구문입니다.
하지만 print()로 출력하지 않으면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습니다.
즉, 주석 '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석은 아님, 문자열임!!!!!)
"""

#문자열로 인식은 되지만 출력은 되지 않음, 이 문자열을 다시 print()로 묶어주면 출력이 됨!
'한 줄 문자열도 똑같이 적용된다! 에러도 안 뜸, 따옴표 없으면 함수로 인식하기 때문에 오류 발생'

5. 자료형 (1)

print("10")  # 따옴표 있음 >> 문자열
print(10)    # 따옴표 없음 >> 정수
print(10.0)  # 따옴표 없음, 소수점 있음 >> 실수
# 대수학에서는 정수는 실수에 포함되지만, 컴퓨터는 그렇지 않음!
print()

#타입을 확인하는 키워드 type()

print(type("10"))   # >> <class 'str'> : string (문자열)
print(type(10))     # >> <class 'int'> : intiger (정수)
print(type(10.0))   # >> <class 'float'> : (실수) 소수점이 둥둥 떠다닌다!

# 연산을 시켜보자

print("10" + "20")  # 문자열 + 문자열 = 단순한 이어붙이기
print(10 + 20)      # 정수 + 정수 = 실제 연산이 이루어짐
print(10.0 + 20.1)  # 실수도 마찬가지로 연산이 이루어짐
print()

자료형 : 데이터 타입. 코드 내 식별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의미

  1. 문자열 : 단어나 문장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따옴표 (‘,”)로 묶임
  2. 정수 : 연산을 위한 데이터. 따옴표로 묶이지 않은 숫자 데이터
  3. 실수 : 숫자 중에서 소수점(.)이 포함 된 숫자

5. 자료형 (2)

# 연산을 시켜보자

print("10" + "20")  # 문자열 + 문자열 = 단순한 이어붙이기
print(10 + 20)      # 정수 + 정수 = 실제 연산이 이루어짐
print(10.0 + 20.1)  # 실수도 마찬가지로 연산이 이루어짐
print()

# 다른 타입간의 연산은?
# print("10" + 20)  오류 발생, 문자열과 '다른 타입' 간에는 연산 불가능

print(10 + 3.14)

자동 형변환, 실제로는 연산 불가능하다! > 연산 과정이 어떻게 되는가?

  1. 원래는 타입이 달라서 불가 > 같은 타입이면 된다고 인식
  2. 10 + 3.14 » 10.0 + 3.14 로 정수를 실수로 변환시켜버림 » 연산 가능
  3. 연산이 이루어짐 13.14  » 이를 ‘자동 형변환’이라고 함!!
  4. 정수에서 실수로 변환이 이루어 지는 것은 더 넓은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되는 규칙이 있음
growingCloud

growingCloud

매일매일 공부하고 코딩하는, 성장하는 신입 개발자 구름입니다 :)

Read More